TOTAL
-
논문 준비GRADUATE SCHOOL 2021. 10. 20. 23:45
대학원 2기생들은 지도 교수, 논문 주제를 선정해서 제출하기 바랍니다. -라고 학과 공지사항에 공지가 되었다. 입학하자마자 한 학기 후에 바로 논문 쓸 준비를 하다니, 너무 빠른 거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들기도 했지만, 특수대학원생이라서 특수대학원에 프레임을 맞추려는 나의 무의식에서 올라온 생각이라는 결론을 갖게 되었다. 특수대학원이지만 일반대학원에 못지 않은 실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내 의지가 가장 중요하고, 연구 프로젝트의 수준도 최대한 그 수준으로 끌어올릴 수 있어야 내 시간과 노력(+돈)이 의미가 있는 것이다. 단톡방에서 학과 전임교수님 상담 후기를 접했는데, 논문에 대해서 너무 급하게 생각할 필요 없고, 구체적인 주제 없이 지도 교수님 컨택을 하기 보다는 일단 과목 추가 이수과정 (논문을 쓰지 않..
-
K-NN (K-Nearest Neighbor)BIG DATA & AI/Machine Learning 2021. 10. 19. 16:50
K-NN의 개념은 직관적이다. K-NN Regression이란 가까운 K개의 점들의 평균 값을 구하여 값을 도출하는 회귀 방법이고, K-NN Classification은 가까운 K개의 점들이 A라는 classification이 많으면 A로 분류되는 방식이다. K-NN classifier는 지금도 많이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 여기서 K란 근처의 data 중 몇 개를 참조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hyperparameter이다. 또한 근처라는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거리는 일반적으로 점 사이의 거리를 구할 때 사용되는 유클리드 거리(Euclidean Distance)가 사용된다. 그 외에도 격자 무늬로 간 거리를 계산하는 맨해튼 거리(Manhatten Distance) 방식도 있다. K-NN은 query가 들어오..
-
Decision Tree (의사결정 트리)BIG DATA & AI/Machine Learning 2021. 10. 19. 10:29
Decision Tree AI를 이용한 마케팅 중, 백화점 앱에서 성별, 연령, 관심사, 구매 내역 등을 봤을 때 관련 상품을 할인하여 주는 쿠폰을 발송하는 이벤트를 종종 보곤 한다. 이 AI는 어떤 원리를 거쳐서 만들어진 것일까? (물론 다른 방법으로도 가능하지만, decision tree의 대표 예 중 하나를 든 것이다.) Decision tree는 위에서부터 아래로(top-down) data에게 기준을 주어 질문을 한 뒤 원하는 class로 분류될 수 있도록, 또는 원하는 값을 찾을 수 있도록 하는 machine learning의 한 방식이다. 아주 basic한 Iris를 예로 들면, 꽃잎의 길이가 50cm가 넘는가? -> Yes 이면 setosa로 분류되는 것과 같은 방식이다. No라면, 꽃잎의 ..
-
Handling Devices in TensorFlow 2.0 (Colab)BIG DATA & AI/Machine Learning 2021. 9. 24. 23:24
Using CPU: Using GPU: Colab으로 GPU를 이용할 때에는 추가적인 설정이 필요하다. 런타임 ➡ 런타임 유형 변경 선택 하드웨어 가속기가 None으로 되어 있으면, GPU로 변경 세션이 재시작되었으니, tensorflow를 다시 import를 해준다. 아래와 같이 gpu_device_name을 얻어오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GPU를 사용할 시 GPU 지원 tensorflow library가 설치 되어 있어야 한다. (아래는 notebook 전용 command) !pip install tensorflow-gpu==2.3.0 위 조건이 만족된 상태에서 아래와 같이 GPU를 이용하여 tensorflow library를 사용할 수 있다. +) 추가 - 내가 참고한 예제에서는 tf.test..
-
대학원생 1주차 후기 (특수대학원/한양대 인공지능융합대학원)GRADUATE SCHOOL 2021. 9. 6. 20:07
9월 1일 개강을 앞두고, 7~8월 동안 신나게 놀자! 라고 생각하고, 7월부터 열심히 놀았는데... 로나코 4단계가 터지고 상황도 체력도 (?) 여의치 않아서 어영부영 하다 보니 개강일이 되었다. 원래 8월에는 사내 MOOC 시스템을 통해서 keras/tensorflow 수강도 하려 했지만, 의욕만 앞섰고 결국 tensorflow 가상 환경 설치만 하고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아래 포스팅을 마지막으로..) 더 이상 진도가 나가지 않더라. 개강이 다가올수록 어차피 예습은 내 공부 스타일이 아니었으니, 일단 부딪혀보자! 라는 핑계아닌 핑계로 나를 합리화 시켰더랬다. https://sysout.tistory.com/67 Anaconda에 Tensorflow 2.0 설치하기 (쉬움주의) 회사에서 온라인 강좌를..
-
Anaconda에 Tensorflow 2.0 설치하기 (쉬움주의)BIG DATA & AI/Machine Learning 2021. 8. 11. 16:36
회사에서 온라인 강좌를 신청할 수 있어서 tensorflow 2.0 강의를 듣게 되었다! 근데 Anaconda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tensorflow 설치를 한 번에 하지 못하였는데, 이번 김에 정리해보려고 한다. command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매우 간단하다. Anaconda Commands # conda version conda --version # list up conda's packages conda list Anaconda Environment Commands # make conda env conda create -n [name] python=[python_version] # activate/deactivate conda env conda activate [conda_name] c..
-
유튜브 기초 수학 : 3Blue1Brown의 Essence of linear algebra 수강 후기BIG DATA & AI/Mathematics 2021. 8. 3. 21:33
literally watching all of the ads possible to give this man as much revenue as I can because he deserves it 대학원 수업 선행(?)학습으로 선형대수학을 공부하려는데, 좋은 유튜브 강의가 있어서 공부한 겸 정리 포스팅이다. 애니메이션 + 쉬운 설명 + 좋은 목소리(^^)로 삼위일체 강의이다. 초심자에게 선형대수를 쉽게 설명해 주신다. 특히 쉽게 접할 수 없는 선형대수학에 대한 3D 그래픽을 통한 직관적 이해를 제공한다. 무료로 듣기 송구한 강의라고 감히 평한다. 근데 난 이걸 한 달동안 들었다.. 오늘 겨우 완강했다. 역시 회사 다니면서 공부하기란.. 쉽지 않다 😂😂 Vectors | Chapter 1, Essence of..
-
조금 일하지만, 제대로 인정받고 있습니다BOOK 2021. 6. 28. 09:33
조금 일하지만, 제대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 성과관리 전문가들이 대놓고 말하는 생존 처세술 직장인 4년차. 직업은 개발자이지만 대기업 개발자는 어쩔 수 없이 직장인 성향이 강하다. N년간 일한 개발자로서 느낀 점을 간략히 정리 해 보면.. 아래 퍼센테이지가 최적화된 것 같다. 기업 유형 Nerd 지수 (%) 직장인 지수 (%) 대기업 개발자 30 70 IT기업 개발자 50 50 IT스타트업 개발자 70 30 프리랜서 개발자 50 50 (+사업가 기질) 각 기업 유형에 따라 Nerd 지수/직장인 지수가 나뉘어야 한다는 것이다. 대기업은 상대적으로 규모가 큰 기업이기 때문에 프로세스나 규제에 부딪혀 어쩔 수 없이 자유로운 개발이나 coverage가 넓은 개발을 하지 못한다. 또한 leader들 중에 SW출신..